본문 바로가기
마음건강 지킴이, 국가트라우마센터입니다.

TIC 소개

트라우마 이해 기반 케어(Trauma-Informed Care: TIC) 개념

Trauma-Informed Care트라우마 이해 기반 케어-트라우마에 대한 이해→치료·서비스, 시스템 참여, 인력 개발, 조직 정책, 관계 부처 협업 서비스 제공과정 -모든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를 통합/반영 -구체적인 치료법 그 이상을 의미하며, 관계적/체계적 측면을 강조
Trauma-Informed Care트라우마 이해 기반 케어 -중앙 및 지역사회 리더십 -조직+유관 기관 -직무 종사자의 웰니스+안전 -트라우마 경험자의 가족과 협업 트라우마 경험자[서비스 이용자]
트라우마 이해 기반 케어(TIC)란?

트라우마 이해 기반 케어(TIC)는 트라우마를 이해하고, 이를 고려하여 개인과 조직, 사회 등 모든 수준에서 트라우마로 부터 안전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트라우마 이해 기반 케어(TIC)는 트라우마에 대한 과학적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, 재난 등 일상생활의 다양한 위기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트라우마를 사전에 인식·예방하고, 트라우마 경험자에게는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아우르는 개념입니다.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트라우마로부터 안전한 조직과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.

트라우마 발생 인지 조직·시스템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인식 업무전반에 관련 지식 적용

TIC의 2가지 차원: 임상적 차원 + 조직적 차원

임상적 차원[Clinical]→트라우마 선별검사 및 평가→트라우마 전문 서비스 + 조직적 차원[Organizational]→안전한 환경[물리적+심리적]→전 직원 대상 TIC교육·훈련→직원2차 외상성 스트레스 예방→트라우마 경험자 의사결정 참여→TIC역량 기반 직원 채용
이용자↔제공자 직원↔기관/조직 → 트라우마 이해를 기반으로 한 조직 운영의 보편화, 정형화된 틀이 없는 TIC⇒기관의 유형에 따라 '다양한 방식'으로 도입 가능

트라우마 이해 기반 접근(TIC)은 ‘임상적 차원’‘조직적 차원’의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

임상적 차원 :
트라우마 경험자에게 선별검사 및 평가, 트라우마 관련 전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조직적 차원 :
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트라우마 경험자의 의사 반영,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TIC 교육, TIC 역량을 갖춘 직원 채용, 직원의 간접 외상 예방, 물리적·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 제공 등을 포함합니다.
트라우마 이해, 치료·서비스, 조직문화 개선 Trauma Informed Care

트라우마 이해 기반 케어(TIC)의 원칙 및 시행영역

TIC 6가지 핵심 원칙 안전[Safety] 신뢰와 투명성[Trustworthiness&Transparency] 동료 지지[Peer Support] 협업과 상호성[Collaboration&Mutuality] 임파워먼트(권한 강화)[Empowerment] 문화적 감수성[Cultural, Historical, Gender Issues]
  • 1.안전
    물리적·신체적 안전과 심리적 안전 모두를 의미합니다.
  • 2.신뢰와 투명성
    조직 운영과 의사결정 과정이 투명성, 일관성, 존중, 공정함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, 서비스 이용자(트라우마 경험자) 와 가족 구성원, 조직 구성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고 유지되어야 합니다.
  • 3.동료 지지
    비슷한 트라우마 경험자 및 그들의 가까운 가족과 동료들로부터 지지받는 것을 의미합니다.
  • 4.협업과 상호성
    서비스 대상자와 제공자가 함께 치료 목표를 설정하고, 치료 과정을 함께 계획합니다. 또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포함됩니다.
  • 5.임파워먼트
    트라우마 경험자나 서비스 대상자에게 적극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, 개별 치료 과정을 비롯해 트라우마 인식, 대응, 예방을 위한 조직 내 의사결정 전 과정에 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.
  • 6.문화적 감수성
    개인이 가진 문화적 배경, 가치관, 신념 등을 존중하고 이를 고려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거버넌스와 리더십-조직의 리더 및 관리자가 TIC시행을 지원·투자 부문 간 협력-트라우마에 대한 이해 공유 및 협력 조직의 물리적 환경-환영 받고 안전한 느낌 + 협업을 위한 물리적 환경 마련 선별·평가·치료 서비스-트라우마 선별 및 평가, 근거 기반 개입 제공 정책-트라우마 이해 기반 원칙을 반영하는 정책 및 규약 마련 직원 역량 강화-트라우마에 대한 훈련+동료 지원+TIC기반 인사 시스템 재정-TIC도임 과정에서 필요한 자원 제공 참여-조직 의사결정 과정에 트라우마 경험자 및 관련자 참여 모니터링 및 질 관리-지속적인 평가▶추적▶모니터링 시행 평가-서비스/프로그램 시행 및 효과성 평가

TIC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원칙에 기반하고 있으며, ‘거버넌스와 리더십’, ‘직원 역량 강화’, ‘부문 간 협력’, ‘재정’, ‘조직의 물리적 환경’, ‘참여’, ‘선별·평가·치료 서비스’, ‘모니터링 및 질 관리’, ‘정책’, ‘평가’를 포함한 10가지 영역 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.

트라우마 이해 기반 케어(TIC)의 발달 단계 및 로드맵

1.트라우마 인식-TIC인식 형성 2.트라우마 민감-기초 지식, 조직 준비도, 절차 및 구조 확립 3.트라우마 대응-정보 수집, 우선순위+계획 수립 4.트라우마 이해 기반-TIC시행 및 모니터링, 정책 및 제도 채택 평가단계 결과물+TIC문화

TIC는 트라우마 인식, 트라우마 민감, 트라우마 대응, 트라우마 이해 기반, 평가 단계로 진행됩니다.

  • 1.‘트라우마 인식 단계’(Trauma Aware)
    조직 내부에서 TIC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단계로, TIC의 개념과 도입 필요성을 인식하게 됩니다.
  • 2.‘트라우마 민감 단계’(Trauma Sensitive)
    TIC 관련 기초 지식을 학습하고, TIC 시행을 위한 조직 준비도를 갖추며, 내부 절차 및 구조를 확립하게 됩니다.
  • 3.‘트라우마 대응 단계’(Trauma Responsive)
    TIC 시행을 위한 조직 내/외부 정보를 수집하고 우선순위 및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입니다.
  • 4.‘트라우마 이해 기반 단계’(Trauma-Informed)
    직접 TIC를 시행하고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거치며, 관련 정책 및 제도를 채택 하는 단계에 해당합니다.
  • 5.‘평가 단계’
    TIC 결과물 및 조직 내부 TIC 문화를 평가하는 단계입니다.

트라우마 이해 기반 케어(TIC) 관련 국외기관

국외 TIC 관련 대표 기관의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. 국외 TIC 자료들을 참고할 수 있도록 관련 링크를 공유 드립니다.

참고자료 출처: [1] Nancy Poole, Christina Talbot, & Tasnim Nathoo. (2017). Healing Families, Helping Systems: A Trauma-Informed Practice Guide or Working with Children, Youth, and Families. Vancouver, BC: British Columbia Centre of Excellence for Women’s Health and Ministry of Children and Family Development. [2] Trauma-Informed Care Implementation Resource Center. (2024, August 9). What is Trauma-Informed Care?. [3]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. (2014b). Trauma-Informed Care in Behavioral Health Services: Treatment Improvement Protocol (TIP) Series 57. HHS Publication No. (SMA) 13-4801. Rockville, MD: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. [4] Center for Health Care Strategies. (2017, August 15). Key Ingredients for Making Trauma-Informed Care a Standard of Care. [5]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. (2023). Practical guide for Implementing a Trauma-Informed Approach. SAMHSA Publication No. PEP23-06-05-005. Rockville, MD: National Mental Health and Substance Use Policy Laboratory.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. [6]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. (2014a). SAMHSA’s Concept of Trauma and Guidance for a Trauma-Informed Approach. HHS Publication No. (SMA) 14-4884. Rockville, MD: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. [7] Missouri Department of Health and Partners. (2014). Missouri Model: A developmental framework for trauma-informed. [8] Trauma Informed Oregon. (2018). Trauma informed care screening tool. Retrieved August, 12, 2024, from https://traumainformedoregon.org/